개요
운영 중인 리눅스 서버에서 LVM으로 구성된 디스크를 스냅샷하여 새로운 VM에 연결하는 경우, 해당 디스크를 마운트하려고 할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.
mount: /data: unknown filesystem type 'LVM2_member'
이 문서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LVM 볼륨을 올바르게 마운트하는 방법을 정리한 내용입니다.
문제 원인
/dev/vdb1과 같은 디스크 파티션이 LVM2_member 타입으로 표시되는 경우, 해당 디바이스는 LVM에서 사용하는 **Physical Volume (PV)**이다. 이러한 PV는 직접적으로 마운트할 수 있는 일반 파일시스템이 아니며, **Volume Group (VG)**과 **Logical Volume (LV)**을 통해 접근해야 한다.
전제 조건
- 스냅샷 디스크(/dev/vdb1)가 VM에 연결되어 있음
- LVM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가 필요함
작업 절차
1. lvm2 패키지 설치
sudo yum install -y lvm2 # CentOS, RHEL 계열
2. 디스크 확인
lsblk
출력 예:
vdb 252:16 0 2T 0 disk
└─vdb1 252:17 0 2T 0 part
vdb1은 LVM 타입의 파티션이며, 직접 마운트할 수 없다.
3. LVM 구성 정보 확인
sudo pvs # Physical Volumes
sudo vgs # Volume Groups
sudo lvs # Logical Volumes
출력 예:
# pvs
PV VG Fmt Attr PSize PFree
/dev/vdb1 vg_data lvm2 a-- <2.00t 0
# vgs
VG #PV #LV #SN Attr VSize VFree
vg_data 1 1 0 wz--n- <2.00t 0
# lvs
LV VG Attr LSize Pool Origin Data% Meta% Move Log Cpy%Sync Convert
lv_data vg_data -wi-a----- <2.00t
4. LVM 활성화 (필요 시)
sudo vgscan
sudo vgchange -ay
5. 파일시스템 확인
논리 볼륨이 존재하더라도 파일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으면 마운트할 수 없다. 파일시스템 유무를 확인한다.
sudo file -s /dev/vg_data/lv_data
출력 예:
/dev/vg_data/lv_data: Linux rev 1.0 ext4 filesystem data, UUID=...
6. 마운트
sudo mkdir -p /data
sudo mount /dev/vg_data/lv_data /data
7. 마운트 확인
df -h /data
선택: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
/etc/fstab 파일에 아래 항목을 추가하면 시스템 재부팅 시 자동 마운트된다.
/dev/vg_data/lv_data /data ext4 defaults 0 0
※ 파일시스템 종류(ext4, xfs 등)는 실제 볼륨에 맞게 변경해야 한다.
정리
단계 설명
1 | LVM 도구 설치 (lvm2) |
2 | 디스크 구성 확인 (lsblk, pvs, vgs, lvs) |
3 | 파일시스템 유무 확인 (file -s) |
4 | Logical Volume 마운트 |
5 | 필요 시 fstab에 등록하여 자동 마운트 설정 |
참고 사항
- 디스크가 암호화되어 있거나 RAID로 구성된 경우에는 본 문서의 방법으로 접근이 불가능할 수 있다.
- 마운트하려는 디스크에 파일시스템이 없을 경우, mkfs.ext4 등의 명령어로 새로 생성해야 한다. 단, 이 경우 기존 데이터는 삭제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.
마무리
LVM으로 구성된 디스크는 단순히 파티션을 마운트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없다. 반드시 Volume Group과 Logical Volume을 통해 접근해야 하며, 이를 위해 LVM 관련 도구 설치 및 구조 확인이 필요하다.
'IT > 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네이버클라우드 자체 리눅스 배포판 'NAVIX' 출시 (222) | 2024.12.10 |
---|---|
CORS(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)란 무엇인가? (1) | 2024.11.25 |
MLops Data Versioning (32) | 2024.04.18 |
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SFC(Service Function Chain) 및 Transit VPC 설명 (34) | 2024.04.16 |
Ubuntu에서 Docker Compose 설치 및 활용하기 (2) | 2024.04.11 |